본문 바로가기

의학27

혈당, 당뇨검사 어떻게 진행되나요?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 분비 혹은 인슐린 작용의 결함으로 인한 고혈당이 특징적인 대사 질환군이며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14%를 차지한다. 만성 혈관합병증으로 망막병증, 신증, 신경병증 등 미세혈관합병증과 심근경색증, 뇌졸중, 말초 질환 등의 대혈관합병증이 있다.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다음, 다뇨, 다갈, 원인을 알 수 없는 체중감소가 있을 수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는 제2형 당뇨병이 90~95%를 차지하고 있다. 제2형 당뇨병은 후천적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점진적인 인슐린 분비 결함이 특징이며 가장 흔한 형태이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 파괴에 의한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하며 원인은 면역 매개성(autoimmune) 또는 특발성(idiopathic)이며 주로 자가.. 2022. 9. 2.
항암치료중 예방접종 맞아도 될까요? 백신(vaccine) 또는 예방주사는 항원(antigen) 즉, 병원체(pathogen)를 처리하여 기능을 약하게 만들어 인체에 주입하거나 인체가 항원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도록 처리된 단백질 또는 핵산(nucleic acid)을 인체에 투여해 항체(antibody)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그 질병에 저항하는 후천면역이 생기도록 하는 물질이며 의약품을 가리킨다. 백신은 병원체의 상태에 따라 완전히 병원체를 죽여 만드는 사백신(inactivated vaccine, 불활성화백신)과 약독화시켜 만드는 생백신(live vaccine)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백신 투여 후 일어나는 면역 반응은 림프구와 혈액 등의 체액과 백혈구 등이 관여한다. 여러 백혈구는 세포를 사멸 과정으로 안내하는 세포 면역과 체액 중 바이러스 등.. 2022. 9. 2.
건강보조식품, 약 효과에 영향을 미칠까? 건강보조식품(건강기능식품)이란 흔히들 '영양제'라 부르며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에 기여하는 것이지 약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이란 1) 다이어트 : 몸 상태 향상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건강보조식품(동물 또는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말, 추출물질 등) 2) 특정 영양보충용식품(특수영양식품) 3) 인삼제품류 등으로 정제 또는 캡슐화하여 의약품과 비슷한 형태로 판매하는 것이 많다. 「건강보조식품」은 신체의 생리적 육체적 측면에서 유용성을 기대하여 섭취 목적을 갖고 식품소재를 가공한 것으로 현재 정제어유가공식품 등 24품목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이 정해져 있다. 특정 영양보충용제품은 식사 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목적으로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아미노산, 식이섬유, 지.. 2022.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