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

갑상선 검사의 해석과 약제

by $pring 2022. 9. 4.

갑상선 기능 검사는 TSH와 freeT4 측정이 권고되며 두 값 에 따라 감별진달 할 수 있다. *TSH(thyroid stimulating hormone)는 갑상선 자극 호르몬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갑상선 호르몬을 자극하는 호르몬이다. free T4는 직접 세포에서 쓰이는 갑상선호르몬을 말한다. 1) Free T4 증가, TSH 감소 (Overt hyperthyroidism) : 흔한원인으로는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일과성 갑상선염(산후, 무통성, 아급성)이 있으며 드물게 갑상선 호르면 투여시, 이소성 갑상선 조직 또는 난소 갑상선종, 아미오다론을 투여했을 경우가 있다. 또한 임산부에서는 임신성 갑상선 중독증, 포상기태, 가족성 임신성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다. 2) Free T4 정상, TSH 감소 (Subclinical hyperthyroidism) : 흔한원인으로는 갑상선 호르몬 투여(과다용량 투여하거나 암의 재발 방지 재발 방지 목적으로 TSH 억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경우), 일차성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일으키는 원인 중 그 정도가 경한 경우이고 일과성 갑상선염의 일시적 경과가 있을 수 있다. 드물게는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거나 dopamine 또는 dobutamine을 투여했을때 또는 비갑상선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 3) Free T4 감소, TSH 정상 또는 감소 : 흔한원인으로는 비갑상선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 시작 후 초기 상태 일 경우가 있으며 드물게는 뇌하수체 질환(=이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을 수 있다. 4) Free T4 감소, TSH 증가 (Overt hypothyroidism) : 흔한원인으로는 만성 자가면역성 갑상선염(=하시모토 갑상선염), 방사능 요오드 치료 후 또는 갑상선 절제술 후 상태, 일과성 갑상선염의 갑상선기능저하증 시기가 있고, 드물게 (TPO 항체 음성이고 이전에 방사성 요오드나 수술 시행 받은 적이 없는 경우) 경부에 외부 방사선 조사를 받은 경우, 약물(아미오다론, 인터페론, interleukin-2, 면역 항암제), 요오드 과다 투여, 리델 갑상선염,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을 수 있다. 5) Free T4 정상, TSH 증가 (Subclinical hypothyroidism) 흔한원인으로 만성 자가면역성 갑상선염(하미소토 갑상선염)이 있으며 비교적 흔하게 약물(위장관 운동 촉진제, 요오드 양이 많은 건강식품, 아미오다론 등)이 있다. 드물게 이종친화 항체,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T4 투여를 받고 있으나 불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경우, 비갑상선 질환으로부터의 회복기일 경우 발생 할 수 있다. 6) Free T4증가, TSH 정상 또는 증가 (Rare) 갑상선 호르몬의 과다 섭취 또는 불규칙적인 섭취, 갑상성 호르몬 저항성 증후군, 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 매우 드물게 갑상선 호르몬 자체에 대한 항체 형성(항 T4 항체 또는 항 T3 항체의 존재, 대개 TPO 항체도 같이 양성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갑상선 기능 검사는 핵의학과와 진단검사의학과 양쪽에서 시행하고 잇다. 오랫동안 임상에서 더 많이 사용되어 경험이 많은 핵의학과 검사가 표준이나, 신속한 결과가 필요할 때에는 진단검사의학과 방법이 더 유리하다. **Total form의 갑상선 호르몬(Total T3 or Total T4)의 측정은 갑상선 호르몬 결합 단백 증가, non-thyroidal illness 등의 특수한 경우가 의심되는 것이 아니면 일반적으로 필요가 없다. 

 

입원 환자의 갑상선 기능 검사 이상의 원인으로는 실제 갑상선 질환 보다 스트레스 상황, 약물 또는 신체 질환에 의한 갑상선 기능 검사의 이상(Non-Thyroidal lllness)이 더 많은 원인을 차지한다. Non-thyroidal illness (NTI) 급성 스트레스 상황 발생 수 시간 이내에  total T3 감소가 발생하며(low T3 syndrome, 이 때에 free T3 감소는 저명하지 않을 수 있다), TSH level도 증가 가능하며 Total T3의 감소 정도는 병의 중증도에 연관되어 있다. 급성기와 같이 low T3 syndrome이 지속될 수 있고 중증도가 높아지면 T4 및 TSH 농도와 감소한다. 이러한 현상은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으며 오랜 금식에 의해서도 T3 및 TSH가 모두 감소할 수 있다. 질병의 회복기에는 TSH의 증가와 함께 Total & free form의 T3 및 T4가 모두 증가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제 (1) Hypothalamic-pituitary-thyroid axis 조절에 영향을 주는 약제(TSH 억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 glucocorticoid, dopamine agonists, somatostatin analogues (2) Thyroid hormone 합성 및 분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약제(저하증 유발) 요오드 함량이 높은 약제(iodinated contrast agents, amiodarone), Lithium (3) 갑상선 자가면역질환을 악화시키는 약제(무증상 갑상선염과 같은 경과를 유발) Immune checkpoint inhibitor, Interleukin-2, Alemtuzumab (4) 갑상선을 파괴시키는 약제(저하증 유발) Amiodarone (destructive thyroiditis), tyrosine kinase or multi-kinase inhibitors (5) 이외 말초에서 갑상선 호르몬과 갑상선 호르몬 결합단백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거나 갑상선 호르몬의 대사에 영향을 주는 약제들 º Oral estrogen, selective estrogen-receptor modulator (TBG 증가로 인해 total T3/T4증가) º Propranolol, glucocorticoids (T4→T3 전환 억제) º Phenobarbital, phenytoin, carbamazepine, rifampin(갑상선 호르몬 대사 증가, 호르몬 요구량 증가) º Cholestyramine(갑상선 호르몬의 enterohepatic circulation 통한 재흡수 억제) (6) 실제 갑상선 기능은 정상이나 검사 결과에는 이상을 유발하는 약제 : Biotin, heparin 

 

댓글